Notice
Recent Posts
Recent Comments
Link
250x250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Tags
- opamp
- Overlap capacitance
- Gate Capacitance
- MOSFET Gate Capacitance
- BSIM4
- short channel effect
- SCE
- MOSFET parasitic capacitance
- BSIM4 diffusion resistor
- pocket implant
- 플립플롭
- CGD
- 벌크 전하 효과
- NRS
- fringing capacitance
- Threshold voltage
- junction area capacitance
- LDMOS Gate Capacitance
- MOSFET
- diffusion resistor
- leakage current
- HV Gate Capacitance
- BSIM4 parasitic capacitance
- 반전증폭기
- bulk charge effect
- Flipflop
- MOSFET NRD NRS
- BSIM4 manual
- junction capacitance
- 문턱전압
Archives
- Today
- Total
목록SR FLIPFLOP (1)
날아라팡's 반도체 아카이브

이번 포스팅은 회로설계에서 기본이 되는 FLIP-FLOP을 알아볼 것이다. 전공책에 적혀있는 FLIP-FLOP(이하 FF) 정의를 적어 보겠다. FF는 동기식 쌍안정 소자로서 쌍안정 멀티바이브레이터이다. 여기에서 "동기식"이라는 의미는 클럭이라고 하는 트리거 입력의 특정한 지점에서 출력상태가 바뀐다는 의미이다. 즉 에지 트리거 플립플롭에서 출력의 변화는 클럭에 동기되어 발생한다. 말이 되게 어렵다...영어 원문을 한국어로 번역을 해버리니 한국사람도 이해하기 어려운 아이러니가 발생한다... 잡담은 집어치우고 간단히 설명하면 "FF는 클럭신호의 특정 지점에서 출력상태가 바뀌는 소자"이다.(사실 본인도 깔끔한 정리가 안된다;;) 우리가 흔히 말하는 FF이라는 말에는 앞에 "에지 트리거"라는 말이 생략되어 있다..
Electronic circuit/Digital
2020. 9. 8. 23:22